본문

284번째 편지 - 부족함이란 행복해 지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우리가 꿈꾸는 행복한 삶이란 무엇일까요.

자연 속에 있는 집에서 내가 잠자고 싶을 때 잠자리에 들고 내가 일어나고 싶을 때 일어나고 내가 먹고 싶을 때 먹고 내가 산책하고 싶을 때 산책하고 내가 영화 보고 싶거나 음악을 듣고 싶을 때 보고 듣고, 갑자기 어떤 책을 읽고 싶을 때 그 책을 읽을 수 있는 삶. 어떤 의무도 책임도 존재하지 않는 시간, 그저 즐기기만 하면 되는 시간들로 점철된 삶. 누군가를 위해 시간을 쓰지 않고 오로지 자신의 기쁨과 만족 만을 위해 시간을 쓸 수 있는 삶.

이런 삶이 우리가 꿈꾸는 삶 행복한 삶이 아닐까요. 저는 지난 2월19일 아침부터 2월22일 저녁까지 4일간을 그런 삶을 살았습니다.
평소 같으면 여러가지 계획을 세워 하루하루를 알차게 보낼 궁리를 하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그저 본능에 제 삶을 맡겨 보기로 하였습니다.

더군다나 하늘이 도와 제 핸드폰을 망가지게 까지 하였습니다. 딸아이에게 핸드폰 잠금장치를 바꿔 달라고 부탁하였더니 무엇을 잘못 만졌는지 갑자기 “다바이스 초기화”라는 버튼이 나온 후로는 전혀 핸드폰이 작동하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핸드폰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켜 봐도 아무런 변화가 없었습니다. 갑자기 개인 통신 수단이 단절되어 외부의 자극마저 봉쇄된 것입니다. 철저히 저의 욕망대로 시간을 보내면 되는 멋진 상황이 만들어 진 것입니다.

이 기가 막힌 절호의 상황에서 저는 무엇을 하였을까요. 저의 본능은 저를 어디로 몰았을까요? 4일 동안 제가 한 것은 전형적인 “카우치 포테이토 증후군” 환자가 된 것입니다. 카우치 포테이토 증후군이란, TV에 중독이 된 사람들이 소파(카우치)에 앉아 감자칩(포테이토)을 먹으면서 TV를 지나치게 긴 시간 보고 있는 것을 빗대어 만들어진 용어입니다.

4일동안 자고 싶은 만큼 잠을 잤습니다. 평소에는 6 내지 7시간 자던 제가 12시간을 자고도 모자라 낮잠을 더 잤습니다. 밥은 먹고 싶을 때만 먹었습니다. 먹기 싫으면 끼니를 거르기 일수 였습니다. 하루종일 TV를 틀어 놓고 올레 TV를 통해 영화와 드라마를 싫증날 만큼 많이 보았습니다. 평소 집에는 케이블 TV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 뉴스조차도 보지 못하였는데 시골집에서는 마음대로 영화와 드라마를 본 것입니다. 딸아이가 재미있다고 추천한 드라마 “킬미 힐미” 14편을 보기 위해 21일은 밤을 꼬박 새우고 아침 7시 잠자리에 들기도 하였습니다. 산책도 하고 싶은 만큼만 하였습니다. 건강을 위해 적어도 1시간은 걸어야 한다는 룰 같은 것은 생각하지도 않고 걷다가 싫증이 나면 그만 걸었습니다. 책 읽기도 평소와는 달리 보고 싶은대로 손에 잡았다가 싫증이 나면 이내 접어 버렸습니다.

이처럼 4일을 제 본능에 충실하게 살았는데 과연 행복하였을까요? 편안하기는 하였으나 기분은 그다지 좋지 않았습니다. 잠을 많이 자도 잠자리에서 일어나는 것이 왠지 찌부둥하였습니다. 낮잠은 달콤하기는 커녕 오히려 자고 일어 나면 인생을 낭비하였다는 죄책감 마저 들었습니다. 영화는 내용과 관계없이 제 영혼을 중독시키는 괴물로 변해버렸습니다. 눈을 TV 화면에서 떼는 일이 이렇게 어려운 일인지 이번에 새삼 느끼게 되었습니다. 밤을 새워가며 킬미 힐미를 보면서 주인공의 매력에 푹 빠진 저 자신을 발견할 수 있었지만 그리 즐겁지는 않았습니다. 영화와 드라마를 즐기기 보다는 결말을 알려고 빠르게 감기를 해가기 바빴습니다.

우리가 꿈꾸는 행복의 모든 조건을 갖추고 실제로 그렇게 살았는데 왜 행복하지 않았을까요. 우리가 평소에 꿈꾸는 행복이란 사실은 허상이었단 말인가요? 저는 우리 모두가 정의 내리고 있는 행복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온라인 영어어원사전(Online etymology dictionary)에 따르면 행복을 의미하는 Happy는 14세기말 나온 단어로 < "lucky, favored by fortune, prosperous" of events, "turning out well" from hap "chance, fortune" >으로 정의되고 있습니다. 이 의미를 곱씹어 보면 어떤 기회(hap "chance")에 일이 잘 풀려(turning out) 좋게(well) 되었을 때 Happy 하다고 하는 것 입니다. 즉, 행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어떤 일이 있어야 하고 그 일은 나쁜 상태에서 좋은 상태로 바뀌어야 합니다. 우리가 기억해 보면 지난날  행복하였던 모든 순간은 부족함이 만족함으로 바뀌었을 때이고 그 바뀌는 과정에 사람의 수고가 반드시 있었습니다.

저는 평생 행복하기 위해서는 모든 것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집도 차도 옷도 좋은 것을 가지면 더 행복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래서 행복하기 위해서는 모든 부족함이 제거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즉, 부족함은 행복의 반대 개념이었고 부족함은 불행과 같은 개념이었습니다. 그런데 깊이 성찰해 보니 부족은 행복을 가져오는 전제 개념이었습니다. 행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부족해야 합니다. 부족과 행복은 동전의 양면입니다.  그리고 부족한 상태를 수고를 통해 극복하는 순간, 우리 모두는 행복감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러나 그 행복감은 그리 오래 가지 않습니다. 우리는 다음 행복을 위해 부족함을 채우는 수고를 하러 나서야 합니다. 행복이라는 것은 <행복한 세상>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부족-수고-행복-부족-수고-행복>이라는 사이클의 한 과정에 불과한 것입니다.

갈증이 난 사람에게는 물 한잔도 행복을 주지만 갈증이 나지 않은 사람에게 물 한잔은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그런데 갈증 난 사람에게 물이 주어지더라도 물 달라는 소리에 바로 물 한잔이 주어진 경우와 사막에서 어렵게 오아시스를 만나 물 한잔이 주어진 경우를 비교하면 오아시스의 물한잔을 마신 사람의 행복감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을 것입니다. 이는 갈증이라는 '부족함'에 오아시스를 찾는 '수고'가 더해졌기 때문에 행복감이 상승하는 것입니다. 행복감은 부족함이 더 절박할수록 수고가 더 힘들수록 높아지는 가 봅니다. 사람들은 왜 굳이 목숨을 거는 수고를 해가며 높은 산을 오를까요? 그곳에는 정복한 사람만이 맛보는 엄청난 행복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행복하기 위해 무엇을 하여야 할까요? 먼저 무엇이 부족한 지 알아야 합니다. 부족 즉, 결핍이 있다는 것은 행복해질 조건 하나가 마련된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극복하는 수고 즉, 노력을 하면 됩니다. 그리하여 Turning out well 하면 행복감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여러분 지금 모든 것이 다 갖추어져 있으신가요. 그러면 안타깝게도 행복감을 느낄 기회가 없으실 것입니다. 반대로 부족한 것 투성이신가요. 축하드립니다. 앞으로 여러분의 노력 여하에 따라 행복해 질 일만 남아있습니다.

저의 지난 4일간은 무엇이 부족한 지를 먼저 깨닫지 못하고 지내는 바람에 행복해질 기회를 놓치고 말았습니다. 여러분의 연휴는 어떠셨나요. 


이번 한 주도 웃으며 시작하세요.

2015.2.23. 조근호 드림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이전글 목록으로 다음글